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학 박수진 교수팀, ‘접히고 오래가는 배터리’ 어디까지 가벼워질 수 있나? [3차원 구조 일체형 유기 배터리 전극 개발] 폴더블폰, 5G폰 등 고용량 전력을 요구하는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기기들이 대거 등장하면서 배터리에 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스마트워치 시곗줄에 휘어지는 배터리를 내장하거나 단순 무선 충전에서 발전한 무선 전력 공유 배터리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온종일 사용할 수 있는 수천 밀리암페어아워(mAh, 전류 용량 2019-12-05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한 땀 한 땀’ 만들던 하이퍼렌즈, 대량생산이 눈 앞에 보인다! [초고해상도 광학현미경 실용화 공정 개발] 생명체의 탄생과 소멸을 함께하는 미생물부터 투명망토와 같은 꿈의 기술을 현실로 만드는 나노물질까지. 작디작은 미세물체들은 인간의 눈엔 보이지 않지만 세상을 움직이는 중요한 존재들이다. 현미경의 발명으로 이런 물체들을 수천~수백만배까지 확대해서 볼 수 있게 되면서 더욱 더 작은 세상을 들여다보려는 연구자들의 시도는 2017-04-25955 연구성과 환경 민승기 교수팀, 열대지역 넓어지는 이유는 ‘인간 탓’ 첫 발견 [인간 활동에 의한 해들리순환 확대 밝혀]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 속 생태계는 지구 전역의 대기의 순환에 따라 유지되고 있다. 그리고, 급격한 기후변화는 생태계의 혼란은 물론, 우리 삶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지구의 대기 대순환을 주도하고 있는 ‘해들리순환(Hadley cell)’이 확대되면서 지구 기후의 급격한 변동이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변 2017-04-24459 연구성과 물리 윤건수 교수팀, 안전한 ‘인공태양’에 한걸음 더 [플라즈마 경계면 폭발 전 ‘섭동’ 현상 발견] 태양이 1초 동안 만들어내는 에너지는 지구 상의 모든 발전소가 만들어내는 발전용량의 1조 배나 많은 에너지다. 이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핵융합 현상을 모방해 만들어내는 ‘인공태양’은 언젠가 고갈될지 모를 화석연료, 그리고 항상 수많은 논란의 중심에 있는 원자력을 대체할, 고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대체 에너지 자원 2017-04-041,190 연구성과 화공 오준학 교수팀, 웨어러블 스마트기기 상용화 앞당길 수 있는 원천 기술 개발 [포토리소그래피 적용 가능한 고분자 반도체 개발] 종이처럼 접히는 전자책, 팔찌처럼 편리하게 몸에 찰 수 있는 스마트 기기에 들어가는 반도체는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소재로 만들어져 있다. 이러한 스마트기기가 소형화되고 더 많은 기능을 탑재하게 됨에 따라, 고성능 차세대 반도체를 개발하기 위한 경쟁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핵심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고분자 반도체 2017-03-27760 연구성과 화공 김동표 교수팀, 효율 높은 이산화탄소 동시 포집•전환시스템 개발 [액체-기체의 ‘계면흐름’으로 ‘온실가스’를 바로 자원으로 만든다.] 전 세계적으로 연간 10기가톤이나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수많은 기상이변을 일으키는 지구온난화의 주범 ‘온실가스’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고자 하는 노력과 함께, 최근에는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에너지를 만드는 식물처럼 이산화탄소로 자원을 만들기 위한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 2017-03-16702 연구성과 생명 이승재 교수팀, RNA와 노화의 상관관계 규명 [RNA의 상태 관리가 장수에 필수적임을 최초로 밝혀내] 탱탱한 동안 피부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피부 관리와 미용 시술이 필요하듯 늙지 않고 오래 살려면 우리 몸 속의 유전자도 관리가 필요하다고 한다. 유전정보전달물질인 RNA와 노화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생명과학과 이승재 교수와 박사과정 손희화씨, 서미화 박사는 기초 2017-03-09894 연구성과 화학 김성지 교수, 몸 속 깊은 곳에 숨은 암을 적외선으로 알려주는 퀀텀닷(양자점) 탐침 개발 [POSTECH-아산생명과학연구원 연구팀, 암 진단 양자점 탐침 개발] 최근 미세한 색 차이까지 정확하게 표현하는 등 뛰어난 화질로 프리미엄 TV에 활용되며 크게 주목을 모으고 있는 ‘퀀텀닷(quantum dot, 양자점)’은 형광을 내는 수십에서 수백 나노미터(nm) 크기의 반도체 결정을 의미한다. 이 퀀텀닷의 발광신호를 조절해 몸 속 깊은 곳의 암을 발 2017-03-091,007 연구성과 화학 김기문 교수팀, ‘단백질 낚시법’으로 고순도・고효율 단백질 정제 [초분자화학¹* 기반의 새로운 정제법… 신약개발, 약물기전 연구에 도움] 암과 같은 질병은 체내 단백질이 변형을 일으켜 생긴다.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원리와 발병 기작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세포 내 존재하는 수많은 단백질 중 약물과 상호작용하는 특정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얻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기존 단백질 정제법은 반응에 첨가되는 다량의 첨가물이 2017-03-091,861 연구성과 물리 염한웅, 김태환 교수 공동연구팀, 인공지능 시대 위한 신개념 ‘4진법’ 연산소자 구현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자제어저차원전자계연구단 염한웅 단장과 물리학과 김태환 교수 공동연구팀이 ‘0’과 ‘1’의 두 상태를 나타내는 ‘2진법 소자’를 넘어서 4진법 연산이 가능한 전자소자를 제안했다. 이를 활용하면 향후 두뇌 신경망을 구현한 인공지능 컴퓨터에 새로운 소자로 적용할 수 있을 것 2017-02-13975 연구성과 창의IT 백창기 교수팀, 차세대 초저전력 실리콘 기반 트랜지스터 개발 [코어-셸 나노선 구조와 터널링 방식의 동작 원리 통한 초저전력・고성능 트랜지스터 개발] 누구나 하나쯤은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태블릿PC등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세대 초저전력 트랜지스터¹*가 개발됐다. 창의IT융합공학과 백창기 교수, 미래IT융합연구원 윤준식 박사, 김기현 박사 연구팀은 기존 학계에서 발표된 실리 2017-02-011,027 First PagePrevious11121314151617181920NextLast Page